아이엠의 창의적 실험실

Coming soon

plus view

브랜드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컬러 마케팅’

“컬러가 중요한 이유는?” 우리가 소비를 결정할 때 큰 영향을 받는 부분이바로 시각적인 요소라고 합니다. 미국 컬러 리서치 연구소에 따르면사람의 오감(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중에서상품의 인식과 구매를 결정하는데시각이 미치는 비중이 무려 87%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특히 그 중에서도컬러의 비중이 60%를 차지한다고 하는데요. 이 때문에 사람들이 쇼핑할 때브랜드명이나 제품보다는컬러나 그림으로 브랜드를 인식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에 특정 컬러를 브랜드에 적용하는 순간, 소비자들은 해당 브랜드에 대한고정된 이미지를 갖게 된다고 합니다. 이에 기업들은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한 전략으로‘컬러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주의를 끄는 빨간색” 빨간색은주로 활력, 사랑, 역동성, 대담함, 열정의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주로 식음료 계열의 회사들이 빨간색을 이용합니다.빨간색이 사람들의 주의를 끌고강렬한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자유로움을 뜻하는 노란색” 노란색은긍정, 재미, 희망적, 자유로움의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친절한 이미지를 전달하고 싶거나활기차고 젊은 소비자들에게 어필해야 하는 기업에서 주로 노란색을 사용합니다. “신선함을 의미하는 초록색” 초록색은성장, 자연, 유기농, 신선함을 의미하는 색깔입니다. 이런 긍정적인 이미지 때문에자연주의 제품을 생산하거나소비자에게 안정감을 주고 싶은 기업들이 사용합니다. “신뢰감을 주는 파란색” 파란색은보는 이로 하여금 차분함과 신뢰감을 느끼게 합니다. 그래서 주로 은행사와 언론사에서파란색 로고를 사용합니다. “컬러 마케팅의 성공사례는?” 네이버는평화, 중립, 신뢰를 상징하는 초록색을 브랜드 컬러로 정해“인터넷 세상에서 신뢰할 수 있는 친절한 인도자”라는철학을 색을 통해 드러내고 있습니다. 포카리스웨트는출시 당시부터 파란 바탕에 흰색 글씨를 넣은패키지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당시 파란색 계통의 색상은 식욕을 저하시킨다는 이유로식품업계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시원한 청량감을 강조하는 포카리스웨트의 ‘블루 마케팅’은그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됐습니다. “그렇다면 실패 사례는?” 2000년대 초반 해태음료에서는‘옐로우 콜라’를 출시해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였습니다. 독특하다는 이유로 큰 인기를 끌었지만콜라는 흑갈색이라는 고착화된 이미지를 바꾸지 못해결국 실패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에서 케첩 점유율 70%를 유지하던 하인즈는2000년대 초 40% 초반까지 점유율이 떨어지자아동 소비자를 겨냥하기 위해초록색과 보라색 등의 다양한 색을 띄는 ‘컬러 케찹’을 출시했습니다. 그러나 초록색은 상한 음식의 느낌을 주고보라색은 식욕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결국 컬러 케찹은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컬러 마케팅의 효과와 사례,어떻게 보셨나요? 색이 주는 효과를 제대로 이해하고 접근한다면마케팅에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컬러 마케팅을 통해 여러분들의 경영, 마케팅, 세일즈 등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more

아이엠의 창의적 실험실

Coming soon

plus view
요즘 SNS 소식 어때요?

#유튜브, 공식 쇼핑 오픈

유튜브의 공식 쇼핑이 지난 6월 30일 전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공개됐습니다.

세계적인 동영상 플랫폼의 사업 확장 소식에 오픈 전부터 큰 기대를 모았지만, 밝혀진 실체는 별도 '채널'이 아닌 탐색 '탭'을 강화한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일반 채널처럼 '유튜브 쇼핑'을 구독해 알림을 받을 수는 있지만, 기존에 개별 라이브 쇼핑 방송을 모아 보여주던 '쇼핑 탭'과 크게 달라진 것은 없었습니다.

아직 유튜브만의 자체 결제시스템이 마련되지 않은 영향이 컸습니다.

네이버쇼핑에 판매자로 등록해야만 라이브 커머스를 진행할 수 있는 네이버쇼핑 라이브와는 대조적입니다.

실제로 첫 라이브 쇼핑 방송은 삼성전자의 갤럭시워치를 판매하는 방송이었지만, 연동된 판매처는 11번가였죠.

하지만 유튜브의 이용자 수를 생각하면 공식 탭 메뉴의 파급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어서

앞으로 어떻게 발전하고 이용될지 궁금해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트위터, 일일 게시물 읽기 제한 시작

트위터가 이용자들이 하루에 읽을 수 있는 게시물 수의 제한에 나섰습니다.

일론 머스크 트위터 회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지난 7월 1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트위터 블루 사용자는 하루 6000개, (트위터 블루를 사용하지 않는) 미 인증 계정은 600개,

신규 사용자는 300개로 하루에 읽을 수 있는 게시물을 제한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제한 이유로 “극단적인 수준의 데이터 스크래핑 및 시스템 조작을 해결하기 위해 임시적 제한을 적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결정에 대해 사용자 불만이 빗발치자

머스크는 열람 가능한 게시물 수를 각각 8000개, 800개, 400개로 상향했고, 다시 1만개, 1000개, 500개로 높였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모두 트위터 중독자다. 밖에 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트위터는 전날부터 온라인에서 검색창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막았습니다.

이전에는 계정 없는 사용자도 로그인하지 않고 검색으로 트위터의 공개 콘텐츠를 찾아볼 수 있었지만,

이제는 트위터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만 게시물을 볼 수 있게 됐습니다.

얼마 전에는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플랫폼의 CEO 마크 주커버그와 이종격투기 대결을 진지하게 논하던데…

도대체 머스크의 기행은 어디까지 일까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디지털 잊힐권리 시범사업’, 2달만 3500건 신청

아동 청소년기의 온라인 흑역사를 지워주는 제도가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아동·청소년 디지털 잊힐 권리 시범사업'이 시행 두 달을 맞아 6월 30일까지 총 3,488건(6월 말 기준)이 접수됐다고 밝혔습니다.

연령대별로는 고등학생인 16세 이상 18세 이하의 신청 수가 전체의 37%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15세 이하(33%)가 차지했습니다.

19세 이상 24세 이하 성인의 비율은 30%로 가장 낮았습니다.

게시물 삭제 요청이 가장 많은 사이트는 유튜브(931건·26.7%)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페이스북(632건·18.1%), 네이버(593건·17.0%), 틱톡(515건·14.8%), 인스타그램(472건·13.5%)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지난 4월 24일부터 시작된 아동·청소년 디지털 잊힐권리 시범사업은

만 18세 미만 아동·청소년 시기에 온라인에 게시한 글·사진·영상이 개인정보를 담고 있는 경우 해당 게시물의 삭제를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만 24세 이하 국민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죠.

과거에 본인 사진이나 영상, 전화번호를 게시했으나 삭제하지 않은 채 사이트를 탈퇴해 게시글 삭제에 어려움을 겪거나,

어린 시절 만든 계정의 아이디를 잊어버린 경우에도 서비스에 신청하면 정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단, 디지털 잊힐권리 서비스를 받으려면 삭제를 희망하는 게시물 주소(URL)와 함께

신분증이나 다른 입증자료를 첨부해 본인 게시물임을 입증해야 합니다.

얼굴이 나온 게시글을 지우려면 자신의 정면 얼굴을 촬영한 사진을,

휴대전화 번호가 노출된 게시물을 지우려면 자신의 전화번호가 적힌 요금고지서의 제출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뭐니뭐니 해도 가장 좋은 방법은 자다가 이불킥 하지 않는 슬기로운 디지털 생활이겠죠?